‘빅리거’ 김하성(30)과 이정후(27·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각기 다른 출발선에서 2025년을 맞이했다.메이저리그(MLB) 진출을 꿈꾸는 김혜성(26)은 마감 기한을 앞두고 막판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2024시즌을 끝으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4년 계약이 만료된 김하성은 800만 달러(약 117억 원) 규모의 1년 연장 옵션을 포기하고 프리에이전트(FA) 시장에 나왔다.2023년 아시아 내야수 최초로 MLB 골드글러브(유틸리티 부문)를 수상하는 등 자신의 가치를 높였지만, 새 소속팀을 찾는데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다.지난 시즌 도중 어깨를 다친 것이 악재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지난해 8월 어깨 부상으로 수술대에 올라 시즌을 조기 마감한 김하성은 올해 4월 복귀할 전망이다. 현지 매체는 김하성의 어깨 부상 이력이 새 팀을 찾는 데 걸림돌이 됐다고 짚었다.김하성에게 관심을 보인 구단들은 다른 선수들과 계약을 맺었다. 샌프란시스코는 윌리 아다메스를 데려왔고, 디트로이트 타이거
Source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