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종주국 자존심 세웠다’ 박태준, 태권도 남자 58㎏급 사상 첫 금메달

[올림픽] '종주국 자존심 세웠다' 박태준, 태권도 남자 58㎏급 사상 첫 금메달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 태권도경기장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태권도 남자 58kg급 시상식에서 한국 박태준이 금메달을 들어보이고 있다. (파리=연합뉴스)

박태준(경희대)이 8년 만에 한국 태권도의 올림픽 금맥을 이었다.

박태준은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그랑팔레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태권도 남자 58㎏급 결승에서 상대 가심 마고메도프(아제르비이잔·26위)의 부상으로 기권승했다.

경기 시작과 함께 몸통을 맞춰 선제 득점한 박태준이 초반 공세를 폈다. 그런데 갑자기 라운드 종료 1분 7초 전 마고메도프가 발차기 도중 왼 정강이 부위 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졌다.

몇 분간 휴식한 마고메도프가 통증을 가라앉히면서 경기가 재개됐지만 처진 분위기를 뒤집지 못했다.

한 차례 감점을 받은 후 몸통 공격을 연속으로 허용하는 내내 끌려가며 박태준에게 1라운드를 0-9로 내줬다.

라운드 종료 후 제대로 걷지 못해 코치의 부축을 받아 경기장에서 내려온 마고메도프는 고통 속에서도 어렵게 복귀해 관중들의 박수를 끌어냈다.

하지만 박태준은 봐주지 않고 2라운드에도 발차기 공세를 몰아쳤다. 어렵게 버티던 마고메도프는 1-13까지 점수 차가 벌어진 경기 종료 1분여 전 또 한 번 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졌다.

이후 다시 일어나지 못한 마고메도프가 기권하면서 박태준의 우승이 확정됐다.

이로써 박태준은 우리나라 최초의 이 체급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기록됐다. ‘태권도 스타’ 이대훈 대전시청 코치가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딴 게 기존 최고 성적이었다.

2021년 도쿄 대회에서 처음으로 ‘노골드’의 수모를 당했던 한국 태권도는 8년 만에 금메달리스트를 배출하며 종주국의 자존심을 세웠다.

우리나라 남자 태권도 선수가 금메달을 딴 것은 무려 16년 만이다. 2008 베이징 대회 손태진(68㎏급), 차동민(80㎏ 초과급) 이후 처음으로 박태준이 시상대 맨 위에 올랐다.

박태준은 최근 2년간 눈부시게 성장했다는 평가를 받는 우리나라 태권도 ‘초신성’이다. 한성고 재학 중이었던 2022년 국가대표로 처음 선발된 박태준은 이번이 생애 첫 올림픽이다.

고3 때인 2022년 10월 월드그랑프리 시리즈를 우승해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린 박태준은 지난해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54㎏급)에서도 정상에 섰다.

지난 2월에는 올림픽 선발전에서 한국 겨루기의 간판이자 세계 랭킹 3위의 장준을 제치고 파리행 티켓을 따내더니 기어코 이번 대회 금메달의 영예도 거머쥐었다.

이는 우리나라 선수단이 파리 올림픽에서 수확한 열두 번째 금메달이다. 하나만 더 추가하면 역대 가장 많은 금메달을 따낸 2008년 베이징과 2012년 런던 대회(13개)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그래픽=연합뉴스]

이진원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스포츠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ource link

Leave a Comment